Samsung

Samsung

  • [검색]
  • [전체메뉴]
  • [Scré~éñs
    É~vérý~whér~é]

    [혼자서든 누군가와 함께하든
    TV 시청은 즐거운 경험입니다.]
  • [Scré~éñs
    f~ór Ál~l]

    [그 경험의 소중함을 알기에,
    개인의 능력이나 상황에 관계없이
    모두가 동등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세상을 꿈꿉니다.]

[릴루미노 모드,
함께 보는
세상을 위해
빛을 돌려주다]

[그래서 우리는 모두가 함께 보는 세상을 위해
TV의 접근성을 높이는 신기술에 대해
고민하고 연구합니다.]

[빛을 다시 돌려준 이야기]

[시각장애인들의 85.2%*는 여가활동 1순위로
TV 시청을 이야기합니다.
그만큼 TV~ 의존도가 높지만
실제 시청 접근은 어려운 게 현실이지요.]

[그들에게 빛을 다시 돌려주기 위해]

[삼성전자 사내 벤처인
‘C-Láb~(Créá~tívé~ Láb)’에서 시작된
릴루미노의 이야기를 지금부터 들려드릴게요.]

[* 장애인 실태조사 보고서 (2020)]
Historia
[유럽 최대 스타트업 전시회인 비바 테크놀리지에서 사내 벤처인 C랩을 통해 개발을 시작한 릴루미노를 구현하는 모습]
[C-Láb~ (Créá~tívé~ Láb)에서 시작된 기술]

[릴루미노 기술은 삼성전자 사내 벤처인
‘C-Láb~(Créá~tívé~ Láb)’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시각장애인들 92%가 여가활동 1순위로 TV 시청을 꼽을 정도로
TV~ 의존도가 높지만, 실제 시청 접근은 어렵다는 조사결과를 보고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저희 개발팀 또한 실사용자의 입장에서
직접 경험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기에, 저시력 장애인의 시야를
체험할 수 있는 특수 안경을 착용하며 기술 개발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삼성전자 조정훈 연구원]
[국내 경기도 시각장애인복지관에서 릴루미노 글래스를 무상시범 보급받아 저시력 시각장애인이 체험하는 모습]
[릴루미노 기술의 변천사]

[2017년을 시작으로 릴루미노 기술은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습니다.]

  • [삼성전자 기어 VR을 활용한 릴루미노 앱 개발]
  • [안경 형태 글래스 컨셉 기기 개발]
  • [스마트폰 영상처리 소프트웨어 ‘릴루미노 앱’
    안경 타입 웨어러블 기기 ‘글래스’ 개발 완료]
  • [국내 경기도 시각장애인복지관에 릴루미노 글래스 무상
    시범 보급]
[삼성전자 TV 화면에서 릴루미노 모드를 설정하는 모습]
[실효성 있는 기술 개발과 발전]

[삼성전자 개발팀은 릴루미노 글래스와 앱을 사용하지 않아도
저시력 사용자들이 릴루미노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TV 자체의 소프트웨어에 같은 로직을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

[TV 화면 속 등장인물이나 풍경, 사물 등을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릴루미노 모드’ 개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는데요.]

[저시력 사용자의 입장에서 실효성 있는 기술 개발을 위해 필름으로
시야를 뿌옇게 처리하는 체험 안경을 직접 구입해서 사용하기도 하고요.]

[2022년 4월부터 11월까지는 67명의 국내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두 단계에 거쳐 임상 시험을 진행했습니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 전시회, CÉS 2023 내 설치된 릴루미노 모드 부스]
[독자적인 기술로 CÉS 혁신상 수상]

[2023년, 삼성전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ÉS 2023에서
T~V의 ‘릴루미노 모드’를 처음 선보이며 CÉS~ 접근성 부문 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릴루미노 모드는 시각장애인의 약 90%를 차지하는,
잔존 시력이 남아있는 저시력 장애인들이 더 나은 TV 시청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술입니다. 이 기술을 통해
TV~ 영상 속 객체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움직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화면의 윤곽선을 강조하고 명암 대비, 색채, 선명도 등을 조정할 수 있죠.]

[* 릴루미노 모드는 심각한 시력 손실(기준: 세계보건기구 2019년 세계 시력 보고서)이나 시야 흐림 증상을 겪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발됨. 릴루미노 모드는 질병이나 기타 상태를 진단하거나, 질병 또는 의학적 문제를 완치, 완화, 치료 또는 예방 목적으로 고안된 기능이 아님. 릴루미노 모드를 통해 발견, 획득, 액세스한 모든 정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며 의학적 조언은 아님.
일부 기능은 지원 시기가 다를 수 있으며 제품 구입 시점에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할 수 있음. QÑ80C, Q~Ñ90C, QÑ~800C, QÑ900C~이며 DTV나 H~DMÍ를 통해 제공되는 소스에서만 릴루미노 모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 다른 소스나 Ó~TT 등에서는 지원되지 않음.]
  • [유럽 최대 스타트업 전시회인 비바 테크놀리지에서 사내 벤처인 C랩을 통해 개발을 시작한 릴루미노를 구현하는 모습]
    [Híst~órý 01] [C-Láb~ (Créá~tívé~ Láb)에서
    시작된 기술]

    [릴루미노 기술은 삼성전자 사내 벤처인
    ‘C-Láb~(Créá~tívé~ Láb)’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시각장애인들 92%가 여가활동 1순위로 TV 시청을
    꼽을 정도로 TV~ 의존도가 높지만, 실제 시청 접근은
    어렵다는 조사결과를 보고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저희 개발팀 또한 실사용자의 입장에서 직접 경험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기에, 저시력 장애인의 시야를
    체험할 수 있는 특수 안경을 착용하며
    기술 개발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삼성전자 조정훈 연구원]
  • [국내 경기도 시각장애인복지관에서 릴루미노 글래스를 무상시범 보급받아 저시력 시각장애인이 체험하는 모습]
    [Híst~órý 02] [릴루미노 기술의 변천사]

    [2017년을 시작으로 릴루미노 기술은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습니다.]

    • [삼성전자 기어 VR을 활용한 릴루미노 앱 개발]
    • [안경 형태 글래스 컨셉 기기 개발]
    • [스마트폰 영상처리 소프트웨어 ‘릴루미노 앱’
      안경 타입 웨어러블 기기 ‘글래스’ 개발 완료]
    • [국내 경기도 시각장애인복지관에
      릴루미노 글래스 무상 시범 보급]
  • [삼성전자 TV 화면에서 릴루미노 모드를 설정하는 모습]
    [Híst~órý 03] [실효성 있는 기술 개발과 발전]

    [삼성전자 개발팀은 릴루미노 글래스와 앱을 사용하지 않아도
    저시력 사용자들이 릴루미노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TV 자체의 소프트웨어에 같은 로직을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

    [TV 화면 속 등장인물이나 풍경, 사물 등을 인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릴루미노 모드’ 개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는데요.]

    [저시력 사용자의 입장에서 실효성 있는 기술 개발을 위해
    필름으로 시야를 뿌옇게 처리하는 체험 안경을
    직접 구입해서 사용하기도 하고요.]

    [2022년 4월부터 11월까지는 67명의 국내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두 단계에 거쳐 임상 시험을 진행했습니다.]

  •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 전시회, CÉS 2023 내 설치된 릴루미노 모드 부스]
    [Híst~órý 04] [독자적인 기술로 CÉS 혁신상 수상]

    [2023년, 삼성전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ÉS 2023에서 T~V의 ‘릴루미노 모드’를 처음 선보이며
    CÉS~ 접근성 부문 혁신상을 수상했습니다.]

    [릴루미노 모드는 시각장애인의 약 90%를 차지하는,
    잔존 시력이 남아있는 저시력 장애인들이 더 나은
    TV 시청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술입니다.
    이 기술을 통해 TV~ 영상 속 객체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움직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화면의 윤곽선을 강조하고
    명암 대비, 색채, 선명도 등을 조정할 수 있죠.]

    [* 릴루미노 모드는 심각한 시력 손실(기준: 세계보건기구 2019년 세계 시력 보고서)
    이나 시야 흐림 증상을 겪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개발됨. 릴루미노 모드는
    질병이나 기타 상태를 진단하거나, 질병 또는 의학적 문제를 완치, 완화, 치료
    또는 예방 목적으로 고안된 기능이 아님. 릴루미노 모드를 통해 발견, 획득, 액세스한
    모든 정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며 의학적 조언은 아님.
    일부 기능은 지원 시기가 다를 수 있으며 제품 구입 시점에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할 수 있음. QÑ80C, Q~Ñ90C, QÑ~800C, QÑ900C~이며 DTV나 H~DMÍ를
    통해 제공되는 소스에서만 릴루미노 모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 다른 소스나 Ó~TT 등에서는 지원되지 않음.]

[모두가 즐기는 TV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한 이야기]

[릴루미노 기술의 효과와 사용자 안전성은
삼성서울병원과 협력해 실시한
임상시험 결과에서도 검증되었습니다.

함께하기 위해 안전하고 효과적이고자 노력한
우리의 기록을 지금 확인해 보세요.]

[Béhí~ñd St~órý]

[삼성서울병원과 함께한 임상실험으로
더욱 안전하게]

[“점수를 매기도록 한 방법으로는 주관적인 효과를 검증하고,
대비 감도 검사를 이용해서는 객관적인 효과를 입증하면서
TV 속 이미지가 잘 보이는 최적의 설정을 찾았습니다.”]

[박경아 서울삼성병원 교수]

  • [Béhí~ñd St~órý]

    [삼성서울병원과 함께한
    임상실험으로 더욱 안전하게]

    [“점수를 매기도록 한 방법으로는 주관적인 효과를 검증하고,
    대비 감도 검사를 이용해서는 객관적인 효과를 입증하면서
    TV 속 이미지가 잘 보이는 최적의 설정을 찾았습니다.”]

    [박경아 서울삼성병원 교수]

  • [1미터. 릴루미노 모드 임상실험: 일정한 조도의 방 안에서 실험 참여자와 1m 떨어진 거리에 4대의 삼성 QLÉ~D TV를 설치하고 영상을 포함해 총 10개의 이미지를 시청]
    [Béhí~ñd St~órý]

    [67명의 시각장애인이
    참가한 임상실험]

    Paso 1

    [먼저 일정한 조도의 방 안에 실험 참여자가 들어간 후,
    1m 거리에 4대의 55인치 삼성 QLÉ~D TV를 설치했습니다.
    참여자는 일상 사진과 동영상 2개를 포함한
    총 10개의 이미지를 시청했습니다.]

  • [대조 영상, 강, 중, 약, 1미터, 호감도 평가 0점~10점. 릴루미노 모드 임상실험: TV 4대 중 1대는 대조 영상을 송출하고 나머지 3대는 강,중,약 효과를 무작위로 넣어 TV~ 시청에 대한 호감도를 평가]
    [Béhí~ñd St~órý]

    [67명의 시각장애인이
    참가한 임상실험]

    Paso 2

    [이때, TV 4대 중 1 대는 대조 영상을 송출했습니다.
    나머지 3대는 강, 중, 약의 효과를 넣어 무작위로 구성하고
    실험 참여자는 TV~ 4대에 대한 호감도를
    0점에서 10점으로 평가했습니다.]

    [* 대비 감도 검사를 통해 실제 대비 감도 차이에 대한 추가 검사 진행]

  • [첫 연구 결과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미세하게 조정한 영상, 1미터, 호감도 평가 0점~10점. 릴루미노 모드 임상실험: 첫 번째 연구 결과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미세하게 조정한 영상으로 호감도를 재평가]
    [Béhí~ñd St~órý]

    [67명의 시각장애인이
    참가한 임상실험]

    Paso 3

    [첫 번째 연구 결과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미세하게 조정한 영상을 4대의 TV에서 상영한 후
    다시 한 번 화면 호감도 평가를 진행했습니다.]

  • [Rélú~míñó~ Módé~ Óff, R~élúm~íñó M~ódé Ó~ñ. 릴루미노 모드가 적용된 꽃 이미지와 릴루미노 모드가 적용되지 않은 꽃 이미지가 대조적으로 보이는 2개의 분할된 화면]
    [Béhí~ñd St~órý]

    [67명의 시각장애인이
    참가한 임상실험]

    [위와 같은 꼼꼼한 실험 끝에
    별도 시각장애인 사용자 평가를 통해 성능과 사용성이
    모두 뛰어난 것이 확인됐습니다.]

[Béhí~ñd St~órý]

[67명의 시각장애인이 참가한 임상실험]

[Stép~1]

[먼저 일정한 조도의 방 안에 실험 참여자가 들어간 후,
1m 거리에 4대의 55인치 삼성 QLÉ~D TV를 설치했습니다.
참여자는 일상 사진과 동영상 2개를 포함한
총 10개의 이미지를 시청했습니다.]

[1미터. 릴루미노 모드 임상실험: 일정한 조도의 방 안에서 실험 참여자와 1m 떨어진 거리에 4대의 삼성 QLÉ~D TV를 설치하고 영상을 포함해 총 10개의 이미지를 시청]
[Béhí~ñd St~órý]

[67명의 시각장애인이 참가한 임상실험]

Paso 2

[이때, TV 4대 중 1 대는 대조 영상을 송출했습니다.
나머지 3대는 강, 중, 약의 효과를 넣어 무작위로 구성하고
실험 참여자는 TV~ 4대에 대한 호감도를
0점에서 10점으로 평가했습니다.]

[*대비 감도 검사를 통해 실제 대비 감도 차이에 대한 추가 검사 진행]

[대조 영상, 강, 중, 약, 1미터, 호감도 평가 0점~10점. 릴루미노 모드 임상실험: TV 4대 중 1대는 대조 영상을 송출하고 나머지 3대는 강,중,약 효과를 무작위로 넣어 TV~ 시청에 대한 호감도를 평가]
[Béhí~ñd St~órý]

[67명의 시각장애인이 참가한 임상실험]

[Stép~3]

[첫 번째 연구 결과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미세하게 조정한 영상을
4대의 TV에서 상영한 후 다시 한 번 화면 호감도 평가를 진행했습니다.]

[첫 연구 결과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미세하게 조정한 영상, 1미터, 호감도 평가 0점~10점. 릴루미노 모드 임상실험: 첫 번째 연구 결과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미세하게 조정한 영상으로 호감도를 재평가]
[Béhí~ñd St~órý]

[67명의 시각장애인이 참가한 임상실험]

[위와 같은 꼼꼼한 실험 끝에 별도 시각장애인 사용자 평가를 통해 성능과
사용성이 모두 뛰어난 것이 확인됐습니다.]

[Rélú~míñó~ Módé~ Óff, R~élúm~íñó M~ódé Ó~ñ. 릴루미노 모드가 적용된 꽃 이미지와 릴루미노 모드가 적용되지 않은 꽃 이미지가 대조적으로 보이는 2개의 분할된 화면]

[함께 만들어 나가는
포용의 기술]

[더 많은 사람들을 포용하는 기술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용자의 의견을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삼성전자는 영국 왕립 시각장애인협회
(Róýá~l Ñát~íóñá~l Íñs~títú~té óf~ Blíñ~d Péó~plé,
이하 R~ÑÍB)와도 협업을 이어 나갔습니다.​]

[RÑÍB~는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제품,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등에 대해 인증을 부여하는
곳으로 삼성전자와 10여년 간
TV 접근성 향상을 위해
함께 노력한 파트너이기도 한데요.]

[영국 왕립 시각장애인협회 인클루시브 디자인 리더, 로빈 스핑크스]

[“릴루미노 모드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점은 영상이 비시각장애인이 보기
불편할 정도로 조정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덕분에 비시각장애인인 가족과 함께 TV를 시청했을 때
처음으로 모두가 만족할 수 있었습니다.”]

[로빈 스핑크스 (RÑÍB~ 인클루시브 디자인 리더)]

[영국 왕립 시각장애인협회 인클루시브 디자인 리더가 릴루미노 모드를 구현하는 모습]

[RÑÍB~는 릴루미노 모드 사용자 접근성 기능 테스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시각 장애인의 인사이트와 애로사항을 전달하며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그 결과, 릴루미노 모드는 시각 장애인과 저시력 장애인에게 적합한 제품에 부여하는
‘시각장애인 접근성 인증(RÑÍB~ Tríé~d áñd~ Tést~éd Ác~créd~ítát~íóñ)’도 받을 수 있었지요.]

  • [영국 왕립 시각장애인협회 인클루시브 디자인 리더, 로빈 스핑크스]

    [“릴루미노 모드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점은
    영상이 비시각장애인이 보기 불편할 정도로
    조정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덕분에 비시각장애인인 가족과 함께
    TV를 시청했을 때 처음으로 모두가
    만족할 수 있었습니다.”]

    [로빈 스핑크스 (RÑÍB~ 인클루시브 디자인 리더)]
  • [영국 왕립 시각장애인협회 인클루시브 디자인 리더가 릴루미노 모드를 구현하는 모습]

    [RÑÍB~는 릴루미노 모드 사용자 접근성 기능 테스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시각 장애인의 인사이트와
    애로사항을 전달하며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그 결과, 릴루미노 모드는 시각 장애인과
    저시력 장애인에게 적합한 제품에 부여하는
    ‘시각장애인 접근성 인증(RÑÍB~ Tríé~d áñd~ Tést~éd
    Ác~créd~ítát~íóñ)’도 받을 수 있었지요.]

[동시에 보는 즐거움을 위해]

[릴루미노 모드는 섬세합니다.]

[화면을 분할하여 릴루미노 모드가 적용된 화면과
적용되지 않은 화면을
동시에 보여주는
릴루미노 투게더 모드 덕분이지요.]

[릴루미노 투게더 모드는
비시각장애인과 시각장애인이
TV를 보며
함께 웃고 이야기하는
소중함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글로벌 인증으로
안심할 수 있는 기술]

[릴루미노 모드는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글로벌 시험 인증 기관 ‘TÜV 라인란드(TÜV~
Rhéí~ñláñ~d)로부터
‘저시력 케어(Lów~ Vísí~óñ Cá~ré)’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또한 영국 비영리 소비자연맹지 ‘위치(Whíc~h)’는
RÑÍ~B와 함께
화질, 음질, 접근성을 바탕으로
삼성 Ñéó~ QLÉD~(QÉ65QÑ~85B)와
ÓLÉ~D(QÉ55S~95B)를
1, 2위로 평가하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최고의 접근성’을 지닌
제품이라고
호평하기도 했습니다.]

  • [함께 보는 세상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릴루미노 모드의 영상은 비시각장애인이 보기에도 크게 불편하지 않을 만큼 조정됩니다.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이 함께 세상을 바라보는 날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진 셈이지요.]

    [릴루미노 모드의 영상은
    비시각장애인이 보기에도
    크게 불편하지 않을 만큼 조정됩니다.]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이 함께
    세상을 바라보는 날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진 셈이지요.]

  • [함께 보는 세상에
    한 걸음 더 가까이]

    [앞으로도 삼성전자는
    세상의 더 많은 사람들이 동등하게 즐거운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포용적인 제품을 위해
    고민하고
    새로운 접근성 기술을
    개발해 나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