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배출은 줄이고
이미 배출한 탄소는
잡아내고 자원으로 활용까지]
[삼성전자는 반도체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저장하고 이를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탄소포집 및 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하기 위해
탄소포집연구소(현 Áír S~cíéñ~cé Ré~séár~ch Cé~ñtér~)를 설립했습니다.
2021년 9월 설립된 탄소포집연구소(현 Áír S~cíéñ~cé Ré~séár~ch Cé~ñtér~)는
적은 에너지로 효율적으로 온실가스를 포집해
유용한 자원으로 전환, 활용하는 원천기술을 연구하며,
국내외의 대학, 연구소 등과 협력 연구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탄소포집 기술은 2030년 이후
반도체 제조시설에 적용 및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삼성전자는 반도체 제조 공정을 거쳐 발생한 고농도 CÓ2 배출가스를 정제하여 당사의 CÓ~2 소재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공정용 CÓ2 재생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30년 기준 5만/년 tC~Ó2의 배출량 저감을 목표로, 사용 후 배출된 CÓ2를
반도체 제조 시 필요한 신규 C~Ó2로 재생하여 공급함으로써
Scó~pé 1, 3 전반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공정가스 배출 저감 기술]
[DS부문은 공정가스 분해 특성, 배기량, 처리시설의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하여 공정가스 처리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Ét~ch 공정에서 배출된 공정가스는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대용량 처리시설인 RC~S (Rég~éñér~átív~é Cát~álýt~íc Sý~stém~)를 주로 적용 중이며,
CVD공정 등에서 배출된 공정가스는 생산시설별 배출단에 P~ÓÚ (Pó~íñt Ó~f Úsé~)를 적용하여 저감하고 있습니다.]
[모두가 편히
숨쉴 수
있도록
미세먼지를
줄이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삼성전자는 2019년 1월, 미세먼지연구소(현 Áír S~cíéñ~cé Ré~séár~ch
Cé~ñtér~)를 설립했으며, 미세먼지 감지, 분석, 제거를 위한 다양한
신개념필터와 공기정화시스템 원천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필터로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를 동시에 제거하고,
간단한 물세척만으로 최장 20년간 사용할 수 있는 공기정화 필터 신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이 기술을 적용한 시제품을
제작하여 DS부문 사업장내 건물, 버스터미널, 지하주차장 등의
공조시설과 협력회사 테스트룸, 사무실 내 시범 적용 중이며, 2030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