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직접 배출 감축]
[공정가스 처리효율을
개선하는 신기술로 생산량이 늘어도
직접 탄소배출은 DÓWÑ~↓]
[온실가스 직접 배출 감축
중장기 로드맵]
[재생에너지 확대]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 추진]
[재생에너지 중장기 로드맵]
재생에너지 사용량] [단위 : GWh]
재생에너지 사용량]
-
[DX부문]
[93.4%]
-
[DS부문]
[24.8%]
-
[전사]
[31.4%]
[밸류체인 탄소감축]
[삼성전자 밖에서도 계속되는 탄소감축]
[밸류체인 탄소 감축
중장기 로드맵]
- [대표 제품군(2024년 모델): 냉장고(RF91DB~90LÉ01), 세탁기(WD~25DB8995BZ~), 에어컨(ÁÉ120CX~ÝBÉK~), TV(KQ~75QÑD900F~XKR), 모니터(L~S49DG952S~KXKR~), PC(ÑP~960QGK), 스마트폰(S~M-S928)]
- [2019년 동일 성능∙스펙 대비]
[제품 전 생애주기에
걸친
탄소감축 노력]
[제품의 전체 생애 주기를 고려하면 제조 과정은 찰나에 불과합니다.
그렇기에 삼성전자는 제품 공정 이후 유통, 판매, 사용 등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줄여 소비자, 협력회사 등 이해관계자들이
탄소 감축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용량이 많은 데이터 센터와 모바일 기기용 반도체는
읽기 속도, 논리 연산, 저장 용량 등 성능을 향상 시키면서도
소비 전력량은 절감하는 초저전력 반도체 기술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또한, 스마트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모니터, PC~ 등
7대 제품의 대표 모델에도 저전력 기술을 적용해
2030년 전력 소비량을 2019년 동일 성능·스펙 모델 대비
평균 30% 개선할 계획입니다.]
[제품 사용단계
탄소 배출 저감]
[* 7대 제품 대표모델 2019년
동일 성능∙스펙 모델 대비 개선율]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비율을 나타낸 막대그래프입니다. 2022년은 16%, 2023년은 25%, 2024년은 31.5%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제품 사용단계
탄소 배출 저감 사례]


[반도체의 환경영향
똑바로 알고,
제대로 줄일 수 있도록]
[삼성전자는 반도체 제품의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제품 탄소발자국을 산출하고자 ÍSÓ 14040, 14044, 14067 국제표준에 의거하여 전과정평가(L~CÁ, Lí~fé Cý~clé Á~ssés~sméñ~t) 프로세스를 정립했습니다. 또한, 반도체 제품을 대상으로 제품 탄소발자국(Pró~dúct~ Cárb~óñ Fó~ótpr~íñt)을 산출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업장, 공정, 배출 항목 등 세부 단위의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품 생산과정에서 주요하게 탄소를 발생시키는 배출원을 파악할 수 있고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D~S부문의 전과정평가 방법론과 산출 자동화 시스템은 글로벌 검증기관의 제3자 검증까지 완료하여 산출한 데이터의 신뢰성도 확보하였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는 유럽 최대 반도체 연구소인 ÍMÉ~C의 SST~S(Sús~táíñ~áblé~ Sémí~cóñd~úctó~r Téc~hñól~ógíé~s áñd~ Sýst~éms)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협력회사들과 함께 반도체 업계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솔루션 개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탄소 배출 뿐만 아니라 물과 자원 등 환경 전반에 미치는 영향까지 평가할 수 있는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수립하여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