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sung

Samsung

  • [검색]
  • [전체메뉴]
[자원순환]

[Círc~úlár~ Écóñ~ómý]

[Sóúr~cíñg~, Pród~úctí~óñ, Dí~strí~bútí~óñ, Ús~é, Réc~ýclí~ñg]

[Sóúr~cíñg~]
[Pród~úctí~óñ]
[Díst~ríbú~tíóñ~]
[Úsíñ~g]
[Récý~clíñ~g]

[삼성전자가
고객, 협력회사와
함께 만들어가는
순환의 고리]

[제품의 수명을 길게,
제품에 사용된 자원의 수명은 더 길-게]

[삼성전자는 재생∙재활용 소재를 개발하고, 폐제품에서 자원을
추출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해 지속가능한 자원순환의
고리를 만들어 가고자 합니다.]

[재생∙재활용 소재 사용,
폐제품 자원 추출로
순환경제를 추구합니다.]

[삼성전자가 순환경제를 구현하는 방법]

[자원순환형 소재]
[2050년까지 DX 제품 모든 플라스틱
부품*에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
[폐기물에서 원자재 추출, 재활용한
소재 활용, 자원순환형 포장재 사용]
[* 당사가 개발한 플라스틱 부품]
[아래로 이동하기]
[제품 수명 연장]
[내구성 향상 ・ 수리 용이성 ・
업그레이드 지원]
[제품을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제품 내구성, 수리 용이성 등 극대화아래로 이동하기]
[폐전자제품 회수·재활용]
[2030년까지 글로벌 판매 전지역 é-wás~té
수거체계 운영, 누적 1,000만톤 수거 계획]
[폐제품을 재질별로 분류하여
자원으로 재활용아래로 이동하기]
[자원순환형 소재]

[자원순환형 소재]

[폐제품, 기술을 만나 새로운 제품으로]

[자원순환형 소재 확대
중장기 로드맵]

[2022년 -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 및 DX 제품 적용, 순환경제연구소 설립 / 2024년 - 재활용 소재가 적용된 플라스틱 사용량 누적 76.8만 톤(2009년 기준) / 2030년 - DX~ 제품 플라스틱 부품1)의 50%2)에 재활용 플라스틱3) 적용 추진, 수거한 모든 폐배터리에서 추출한 광물의 재활용 시스템 구축 / 2050년 - DX 제품 모든2) 플라스틱 부품1)에 재활용 플라스틱3) 적용 추진]
  • [당사가 개발한 플라스틱 부품]
  • [부품 총량 기준 재활용 소재가 포함된 부품의 비율]
  • [순수 재활용 소재 함유율은 부품별로 상이]
[구형 갤럭시 수거 → 폐배터리 분리 및 분해 → ‘블랙 매스(Blác~k Más~s)’ 가공 및 코발트 추출 → 배터리 양극재 제조 → 갤럭시 S25에 재활용 과정을 나타낸 갤럭시 S25시리즈의 배터리 재활용 순환 체계 순서도입니다.]

[다시 태어난 소재
지속가능한 제품으로]

[구형 갤럭시 수거 → 폐배터리 분리 및 분해 → ‘블랙 매스(Blác~k Más~s)’ 가공 및 코발트 추출 → 배터리 양극재 제조 → 갤럭시 S25에 재활용 과정을 나타낸 갤럭시 S25시리즈의 배터리 재활용 순환 체계 순서도입니다.]

[삼성전자는 제품에 자원순환형 소재를 적용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땅과 바다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일지 끊임없이 연구합니다. 해양 환경에 가장 큰 위협 중 하나인 플라스틱 폐기물에 주목해 폐어망 재활용을 위한 기술을 개발했으며, 쓰임을 다 한 자원을 다시 활용함으로써 더욱 커다란 자원순환 고리를 만들어가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2025년 출시한 갤럭시 S25 시리즈에는 플라스틱1), 희토류2), 강철3), 글라스4) 외에도 금5)과 구리6), 코발트7), 알루미늄8) 등 재활용 소재를 적용하였습니다. 갤럭시 S25와 S25+의 프레임에는 재활용 아머 알루미늄 소재를 적용하였습니다.

더불어 갤럭시 S~25 시리즈에는 스마트폰 배터리 자원순환 체계를 통해 오래된 갤럭시 스마트폰과 폐배터리에서 추출한 재활용 코발트를 적용하였고 반도체 제조 공정의 폐웨이퍼 트레이를 재활용한 플라스틱도 새롭게 적용하였습니다.

2024년형 및 2025년형 Ñéó Q~LÉD 8K~ TV 제품의 내부 방열을 위해 사용된 그라파이트 시트에는 폐배터리에서 추출한 재활용 그라파이트 소재9)를 적용하였습니다.]

[갤럭시 S25 시리즈 배터리 순환 혁신]
  • [Báck~ Glás~s Déc~ó Fíl~m에 80%, Vól~úmé K~éý와 Sí~dé Ké~ý에 30%, Tóp~ & Bótt~óm Sp~éáké~r Mód~úlé(Ú~ppér~, Lówé~r)에 20%, 전면 케이스에 10% 등 여러 부품에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스피커 모듈과 모터에 적용된 자석에 사용된 희토류(네오디뮴)는 100% 재활용 소재입니다.]
  • [스피커 모듈에 포함된 일부 강철 소재는 재활용 소재를 40% 이상 포함하고 있습니다. (S25 울트라 Tóp~ Spéá~kér M~ódúl~é Grí~ll에 40%, S25 시리즈 B~óttó~m Spé~ákér~ Módú~lé Ló~wér에 70% 등)]
  • [S25와 S25+는 전∙후면 글라스, S25 울트라는 후면 글라스에 재활용 글라스가 적용되었습니다.]
  • [S25 울트라의 전면과 3x Té~léph~ótó 카메라 모듈에 적용된 본딩 와이어,
    S~25+와 S25의 Máí~ñ PCB~ 도금에 사용된 금은 100% 재활용 소재입니다.]
  • [디스플레이, 카메라, 무선 충전 등 여러 모듈과 주요 인쇄회로기판에 적용된 구리 포일은 100% 재활용 소재입니다.]
  • [갤럭시 S25 시리즈의 배터리는 최소 25%의 코발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50% 이상은 재활용 코발트입니다.]
  • [S25 울트라의 볼륨키, 사이드키는 재활용 알루미늄 28%를, 전면 케이스 내부와 후면 카메라 데코는 30%를 포함하고 있으며 S25+와 S25의 전면 케이스에 적용된 Á~rmór~ 알루미늄은 재활용 소재를 20% 함유하고 있습니다.]
  • [2024년형 제품 내부에 사용된 6종 그라파이트 시트 중 5종은 재활용 소재가 적용되었으며, 2025년형 모델 중 원커넥트 박스를 사용하지 않는 일부 모델에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플라스틱 부품에
재활용 플라스틱 적용 대폭 확대]

[삼성전자는 제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부품에 재활용 플라스틱 적용을 대폭 확대합니다. 2030년까지 플라스틱 부품의 50%, 2050년까지 모든 플라스틱 부품에 재활용 플라스틱 적용을 추진합니다.

2024년에는 2023년 대비 약 1.3배인 201,755톤의 재활용 소재가 적용된 플라스틱을 사용하였습니다.]

[재활용 소재가 적용된 플라스틱 사용량 (기준연도: 2009년)]
  • [단위 : 만 톤]
  • [당해 연도 사용량]
  • [전체 누적 사용량]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당해 연도 사용량과 누적 사용량을 나타낸 이중 막대그래프입니다. 2022년 당해 연도 사용량 9.9, 누적 사용량 40.9 / 2023년 당해 연도 사용량 15.8, 누적 사용량 56.7 / 2024년 당해 연도 사용량 20.2, 누적 사용량 76.8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폐어망은 어떻게
Gálá~xý가 되었을까]

[자세히 보기]

[재활용 소재로 만들고, 재활용성 향상을 고려합니다.]

[제품군별 자원순환형 포장재 사용 사례]

[제품 수명 연장]

[제품 수명 연장]

[오래 쓰고, 고쳐 쓰세요.]

[제품의 수명이 늘어날수록
자원의 소모는 줄어드니까]

[삼성전자가 제품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애쓰는 것은
제품의 교체 주기가 짧아질수록 소모되는 자원도,
배출되는 탄소도 함께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우리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객이
제품을 더 오래 쓸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적용합니다.]

  • [오래 쓰세요.]

    [국제 규격을 만족하는 테스트와
    삼성전자의 까다로운 기준을 통과했습니다.]

    [내구성 향상]
  • [고쳐 쓰세요.]

    [분해가 쉬운 설계
    수명을 다한 후에도 재활용하기 쉽게]

    [수리 용이성]
  • [업그레이드해서
    쓰세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지원도 오래
    모듈형 디자인으로 내 필요에 꼭 맞게 제품을 오래]

    [업그레이더빌리티]
  • [안심하고 쓰세요.]

    [엄격한 품질 검사와 업그레이드를 거친
    리퍼비시 제품을 보증기간과 함께 제공합니다.]

    [갤럭시 인증중고폰(Cért~ífíé~d Ré-Ñ~éwéd~)]
[폐전자제품 회수·재활용]

[폐전자제품
회수·재활용]

[수명이 다한 제품에
새로운 생명 불어넣기]

[폐제품 회수 및 재활용
중장기 로드맵]

  • [* 2009년부터 누적]

[2023년 - 70여 개국에서 폐제품 수거 체계 운영 / 2024년 - 80여 개국에서 폐제품 수거 체계 운영 / 2030년 - 글로벌 전 판매 국가 폐제품 수거체계 운영, 누적 1,000만 톤* 수거 계획 / 2050년 - 폐제품 누적 2,500만 톤* 수거 계획]

[그냥 버려지지 않습니다.
다시 태어납니다.]

[우리가 새 제품으로 바꿀 때,
우리가 쓰던 제품은 어디로 가는 걸까요¿]

[다양한 원자재가 모여 만들어진 제품은
시각을 달리하면 자원의
복합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폐제품이 그냥 버려지지 않고
새로운 제품의 재료가 되어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폐전자제품(é-wás~té)을 수거하고 재활용합니다.]

[폐제품 수거 체계
확대 운영]

[삼성전자는 현재 80여 개국에서 시행 중인 폐제품 수거 체계를
운영 중이며 전 세계적으로 2009년부터 2024년까지 누적 약
690.9만 톤의 폐전자제품을 회수했습니다.

앞으로 2030년까지 폐제품 수거 체계를 글로벌 판매 전지역으로 확대하고, 2009년부터 누적으로 1,000만 톤, 2050년까지 2,500만 톤의 폐전자제품을 수거할 계획입니다.]

[폐전자제품 누적 회수량 (기준연도: 2009년)]
  • [단위 : 만 톤]
  • [당해 연도 회수량]
  • [전체 누적 회수량]
[폐전자제품 누적 회수량] [기준연도:2009년] [당해 연도 회수량, 전체 누적 회수량, 단위 : 만 톤]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당해 연도 사용량과 누적 사용량을 나타낸 이중 막대그래프입니다. 2022년 당해 연도 사용량 59.9, 누적 사용량 569.8 / 2023년 당해 연도 사용량 59.9, 누적 사용량 629.7 / 2024년 당해 연도 사용량 61.1, 누적 사용량 690.9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폐전자제품 회수부터 유가자원 추출, 자원 재활용까지의 순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입니다. 2009년부터 2024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누적 690.8만 톤의 폐전자제품을 회수하고, 선별·파쇄 등의 전처리 과정을 통해 구리, 알루미늄, 철, 플라스틱 등 유가자원을 추출한 뒤, 추출된 자원을 재활용해 당사 부품 및 타제품으로 제조해 사용합니다.] [폐전자제품 회수부터 유가자원 추출, 자원 재활용까지의 순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입니다. 2009년부터 2024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누적 690.8만 톤의 폐전자제품을 회수하고, 선별·파쇄 등의 전처리 과정을 통해 구리, 알루미늄, 철, 플라스틱 등 유가자원을 추출한 뒤, 추출된 자원을 재활용해 당사 부품 및 타제품으로 제조해 사용합니다.]
[폐제품 회수 및 재활용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나라를 나타낸 지도]

[상세 국가 리스트를 보기 위해서는
상단 메뉴에서 지역을 클릭하세요.]

[지역별 폐제품 회수 및 재활용 프로그램 자세히 보기]

  • [한국] [한국 내 폐제품 회수 및
    재활용 프로그램]
    [자세히 보기]
  • [미국] [미국 내 폐제품 회수 및
    재활용 프로그램]
    [자세히 보기]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유럽·아시아·아프리카 내
    폐제품 회수 및 재활용 프로그램]
    [자세히 보기]

[Dígí~tál L~íbrá~rý]

[Ñéws~ & Stór~ý]